분류 전체보기
-
[ORACLE]권한 및 synonym 생성설치&설정 관련/ORACLE 2014. 2. 5. 17:14
오라클 권한 주기 - 검색 권한GRANT SELECT ON 권한을줄테이블명 TO 권한을받을사용자계정; - 입력 수정 삭제 권한GRANT INSERT, UPDATE, DELETE ON 권한을줄테이블명 TO 권한을받을사용자계정; - FUNCTION 권한 주기GRANT EXECUTE ON 권한을줄함수명 TO 권한을받을사용자계정; SYNONYM SYNONYM 이란 테이블이나 함수명 을 다른 계정에서 접근하기 위해서 계정명.테이블명, 계정명.함수명 으로 접근 하여야 한다.그냥 테이블명, 함수명으로 접근하기 위해 SYNONYM을 설정 한다. - 테이블 시노님 생성CREATE SYNONYM 시노님명칭 FOR 계정명.테이블명; - 함수 시노님 생성CREATE SYNONYM 시노님명칭 FOR 계정명.함수명; 작업이후는 ..
-
[NIO.2]FileChannelJAVA/NIO2 2014. 2. 5. 01:09
FileChannel은 자바 1.4에서 소개됐지만, SeekableByteChannel 새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최근에 업데이트 되었다. SeekableByteChannel은 임의 접근 파일 기능을 제공하며, FileChannel은 파일의 특정 영역을 잠그거나, 고속 접근을 위해 특정 영역을 메모리에 직접 매핑하는 등의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 예제는 지정된 경로를 읽기/쓰기 할 수 있는 채널을 가져온다. public void useFileChannel(){ Path path = Paths.get("C:/TEMP", "story.txt"); //읽기 쓰기 파일 채널 try(FileChannel fileChannel = (FileChannel.open(path, EnumSet.of(Standard..
-
[NIO.2]ByteBufferJAVA/NIO2 2014. 2. 4. 17:29
버퍼는 근본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배열이다. Buffer 인터페이스는 ByteBuffer, ChrBuffer, IntBuffer, ShortBuffer, LongBuffer, FloatBuffer, DoubleBuffer 을 제공한다.(보통 ByteBuffer 을 많이 사용한다.)또한 ByteBuffer 을 생성시 allocateDirect 를 이용하면 다이렉트 버퍼(힙이 아닌 일반 메모리로 접근)로 만들수 있다. ByteBuffer 속성필수 요소 - Limit : 버퍼에 쓸 때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가질 수 있는지를 가르킨다. - Position :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읽고 쓰는지 추적한다. - Capacity : 버퍼에 저장할 수 이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를 가르킨다.0 ≤ positio..
-
[NIO.2]SeekableByteChannelJAVA/NIO2 2014. 2. 4. 17:23
SeekableByteChannel 인터페이스는 채널에서 위치라는 개념을 구현하여 RAF를 지원 합니다. 채널에서 바이트 버퍼를 읽어올 수 있고, 바이트 버퍼를 채널에 쓸 수 있으며, 현재 위치 지정과 설정, 지원된 차원의 채널에 연결된 엔티티를 잘라내기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 하는 메소드 입니다.postion() : 채널의 현재 위치를 반환한다.(정수) position(long) : 채널의 위치를 long 값으로 지정한다.(정수)truncate(long) : long 값의 채널에 연결된 엔티티를 잘라낸다.read(ByteBuffer) : 바이트를 채널에서 버퍼로 읽어 들인다.write(ByteBuffer) : 바이트를 채널에서 버퍼로 쓴다.size() : 이 채널의 연결된 엔티티..
-
[TIP]메모리 관련 옵션 설정설치&설정 관련/JAVA 2014. 2. 3. 13:19
java 를 이용해 실행하게 되면 몇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다음은 메모리 관련된 java option 입니다. heap size 1G 할당-Xms1024m -Xmx1024m 동적인 호출에 대한 메모리 공간 1G 할당-XX:PermSize=1024m -XX:MaxPermSize=1024m System.gc() 무시-XX:+DisableExplicitGC UseAdaptiveSizePolicy 무시 옵션- UseAdaptiveSizePolicy란 java에서 new 영역의 사이즈를 동적으로 변경 하는 것으로 사용 하였을 경우 Full GC가 빈번하게 일어날수 있다. 물론 성능면에서는 좋다고 한다 JDK 1.4부터는 기본 값이 사용으로 되어 있음-XX:-UseAdaptiveSizePolicy GC 로그 관련-..
-
PolymorphismJAVA/in 기초 2014. 2. 3. 00:02
다형성이란 하나로 여러가지 일을 하는 것을 이야기 한다. 상속과 관련된 다형성의 기법들 - 인터페이스(interface) - 오버라이딩(Overriding) -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 - 추상 메소드(Abstract Method) - 다운캐스팅(Downcasting) - 업케스팅(Upcasting)*예를 들자면, 객체지향을 이야기 한다. 객체(Object)는 모든 형태로 변환(캐스팅)이 가능 하다 Abstract Class & Abstract Method 추상 메소드 - 메소드 몸체가 없는 메서드를 추상 메서드라고 한다. - 메소드 선언부에 abstract 키워드를 사용해야 한다. //일반 메소드 public void sayHello(){} //추상 메소드 public abstract ..
-
Overloading, Constructor, Inheritance, Overriding, this, superJAVA/in 기초 2014. 2. 2. 20:57
Overloading오버로딩이란 하나의 메소드 이름에 여러 개의 메소드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기법이다. 오버로딩의 정의 - 하나의 이름으로 여러개의 메서드를 만드는 기법 오버로딩 메소드를 만드는 규칙 - 반드시 매개변수의 개수나 매개변수의 형이 달라야 한다. 오버로딩을 사용하는 이유 - 해당 클래스의 메서드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서 - 매서드의 이름 하나로 여러 가지 작업에 대처할 수 있다. * 오버로딩은 컴파일러가 발전하면서 등장한 기술이다. 컴파일러 차원에서 메서드의 이름을 자동으로 바꾸어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펴리하게 이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원본 소스 int plus(int a, int b); float plus(float a, float b); double plus(doub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