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Vuejs를 express로 배포 후 vuejs route 동작 처리NodeJS 2019. 2. 6. 16:28
Vuejs 배포시 route 동작 처리vuejs에서 express로 배포하는 방식을 기존에 설명 했었다.문제는 vuejs route에 주소를 직접 치고 들어가면 404 오류가 발생하였다.express쪽에서 기본적인 요청은 vuejs의 route를 바라보게 하고 싶어서 검색을 해보니, Routes not working in production라는 글을 확인 하였다.처리 방법은 express에 마지막 부분에 다음 코드를 추가 하면 된다. index.html은 vuejs를 배포한 위치이다.app.get('*', (req, res) => { res.sendFile(`${__dirname}/public/index.html`); }); vuejs도 잼나네!참고 자료Routes not working in produc..
-
How to fix this is undefined in Vue.HTML + JAVASCRIPT + CSS 2019. 2. 6. 16:28
How to fix “this is undefined” in Vue.Vue를 써보고 있는데, Vue 안에 method를 선언하고 this를 호출하니 undefined가 발생하였다.export default { methods: { sayHello: () => { this.val = 'hello'; console.log(this.val); } }, data() { return { val: '' } } } #### 결과 this is undefined 원인을 찾아 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If you try to access this from inside of an arrow function that’s on a Vue component, you’ll get an error because this d..
-
How To Use Winston to Log Node.js ApplicationsNodeJS 2019. 2. 6. 16:28
How To Use Winston to Log Node.js Applications간단하게 설정만 작성하는 것으로 원본자료 How To Use Winston to Log Node.js Applications을 보세요.var appRoot = require('app-root-path'); var winston = require('winston'); // define the custom settings for each transport (file, console) var options = { file: { level: 'info', filename: `${appRoot}/logs/app.log`, handleExceptions: true, json: true, maxsize: 5242880, // 5MB m..
-
이번에 진행한 refactoring 코드 일부 공유NodeJS 2019. 2. 6. 16:27
이번에 함께 일하시는 분의 코드를 리펙토링하며 의견을 나누었다.이번에 함께 일하는 분의 코드 리펙토링을 진행 하였다.유지보수 가능한 코딩의 기술 자바편의 내용을 기준으로 리펙토링을 하였다.하나의 메소드를 15라인을 넘지 않도록 하고 결과를 확인하니, 너무 세분화 하여 쪼갠 느낌이다.하나의 메소드는 하나의 역활만 하도록 하고, 중복된 코드가 없도로 했다.const __DEFAULT_SELECTBOX_STR = "선택해주세요"; const __ORDER_SELECT_BOX = ['cls-l', 'cls-m', 'cls-s', 'cls-d']; const removeAllOptions = (isRemove, target) => { if(isRemove){ target.find('option').remove()..
-
ORA-21561 OID generation failedNodeJS 2019. 2. 6. 16:26
ORA-21561 OID generation failed어제까지 문제가 없었는데 갑지가 node에서 Oracle 연결시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 하였다.> node ./bin/www ORA-21561: OID generation failed 검색을 해보니 호스트네임의 문제라고 한다.다음과 같이 해주면 처리가 된다.echo "127.0.0.1 $(hostname)" | sudo tee -a /etc/hosts 그러면 /etc/hosts에 한줄이 추가 되고 재기동 하면 접속에 성공했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node ./bin/www Connection was successful! 하루에 하나 이상은 배우는 구나!참고자료Error : ORA-21561 OID generation failed #47
-
80 port에 대하여 Root가 아닌 다른 계정으로 서비스 하기설치&설정 관련 2019. 2. 6. 16:26
80 port에 대하여 Root가 아닌 다른 계정으로 서비스 하기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서비스에 대한 기동을 root가 아닌 다른 계정으로 하라는 지침이 내려왔다.하지만 1024 포트 이하에 대한 서비스 권한은 root만 가지고 있다. 기존에 했던 방법은 계정을 생성하고 root와 같은 그룹으로 묶어서 처리한 기억이 있다.이번에 찾은 방법은 authbind라는 라이브러리를 이용 하는 방법이다.예제는 pm2를 이용하였는데, 아마 생각은 다른 프로그램 역시 동작 할것이다.우선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여 authbind를 설치 하고 %user% 는 사용하려는 계정으로 바꿔서 진행하면 된다.$> sudo apt-get install authbind $> sudo touch /etc/authbind/byport/80 ..
-
node.js 에서 다른 버젼으로 변경 하기NodeJS 2019. 2. 6. 16:25
node.js에서 버젼 변경 하기오늘 특정 프로젝트를 받아서 빌드를 진행하는데 오류가 발생하였다.$> npm install .... 모듈 오류 발생 ... 원인은 node 버젼이 내 PC에 설치된 것은 11.x 이고 해당 모듈은 8.x 에서만 동작하였다.버젼 변경을 어찌 해야하는지 고민하는 차에 함께 일하시는 분이 n 이라는 모듈을 이용하면 된다고 알려 주셨다.# 설치 $>sudo npm install -g n # Node 버전 중 설치된 버전 확인 $> n ls # Node 버전 설치 $> n # ex> n 8.13 # 최신 LTS Node 버전 설치 $> n latest # 제거할 Node 설정 $ n rm #ex> n rm 8.9.1 8.9.2 # 현재 버전을 제외한 모든 버전 제거 $ n prun..
-
Nginx private 인증서 적용하기설치&설정 관련 2019. 2. 6. 16:24
Nginx private 인증서 적용하기OPENSSL 기반으로 인증서요청서 생성하기$> openssl req -new -newkey rsa:2048 -nodes -keyout .key -out .csr ... 정보 입력 or 걍 엔터 인증서 생성 하기$> openssl x509 -req -days 365 -in .csr -signkey .key -out .crt ... 결과로 인증서( 인증서이름.crt )가 생성된다. 비밀번호 제거작업 필수는 아니지만, Nginx를 재기동 할 경우 비밀번호를 요청 받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개인키를 재생성 한다.$> cp .key .key.secure $> openssl rsa -in .key.secure -out .key Nginx SSL 적용$> vi /etc/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