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설정 관련
-
XWIKI 팁 정리설치&설정 관련 2022. 10. 14. 14:53
xwiki TIP 정리 1. 인터넷이 안되는 환경에서는 XIP Package를 이용하세요. xwiki는 xwiki extension manager를 통해서 많은 확장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능들의 설치는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인터넷 환경이 안되는 경우, Download XWiki 13.10.3에서 Demo Installation 밑에 있는 Standard Flavor Pre-installed를 다운로드 합니다. 그리고, Production Installation 밑에 있는 XIP Package를 다운로드 합니다. 먼저 Standard Flavor Pre-installed를 설치하려는 곳에 압축을 해제 합니다. 그리고 {압축을 해제한 디렉토리-이하 XWIKI_ROOT}/data/ext..
-
Mysql 설치시 설정설치&설정 관련/MariaDB & Mysql 2022. 10. 10. 14:51
mysql binary 설치시 설정 mysql binary 설치는 간단하게 앞축을 풀어서 사용하는 방식 입니다. dependency library libaio ncurses-compat-libs 설치 명령어 $ yum install libaio $ yum install ncurses-compat-libs 설치 명령어 다음은 기본 설치 명령어 입니다. # 그룹 추가 $ groupadd mysql # 사용자 추가 $ useradd -r -g mysql -s /bin/false mysql # 설치 디렉토리 /usr/local 에 압축 풀고 설치 $ cd /usr/local $ tar xvf /path/to/mysql-VERSION-OS.tar.xz $ ln -s full-path-to-mysql-VERSION..
-
gitlab & Jenkins 설치 명령어 정리설치&설정 관련/git 2022. 10. 7. 14:49
gitlab & Jenkins 설치 명령어 정리 CI/CD를 위한 초석으로 gitlab & jenkins를 설치하는 명령어를 정리 합니다. Gitlab 설치 명령어 # 시작전 업데이트 $ yum update -y # repository 등록 $ curl https://packages.GitLab.com/install/repositories/GitLab/GitLab-ce/script.rpm.sh | sudo bash # gitlab 설치 $ yum install -y gitlab-ce.x86_64 # postgresql client 필요로 설치 $ yum install -y postgresql # git 설치 $ yum install git -y 설정 명령어 # 데이터 디렉토리 생성 $ mdir /data..
-
MacOS(monterey) USB 테더링 by android설치&설정 관련 2022. 10. 5. 14:46
MacOS와 Android 폰과의 USB 테더링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MacOS에서 Android 폰으로 USB tethering 를 하기 위해서는 HoRNDIS 드라이버를 설치 해야 합니다. 2021년도 12월 27일 최신 버젼은 HoRNDIS-9.2.pkg(46919바이트) 입니다. 다운로드를 받아서 실행해도 설치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을 따라 진행해주세요. 설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진행 HoRNDIS-9.2.pkg(46919바이트) 다운로드 MacOS를 종료 하고 복구 모드 진입(⌘CMD + R + 전원 버튼) 복구모드에서 터미널 실행 후 다음 명령어 입력 $ csrutil disable $ csrutil enable --without kext HoRNDIS-9.2.pkg..
-
sar 툴 설치 하기설치&설정 관련 2021. 12. 29. 02:19
sar를 활용해서 시스템 모니터링을 해보자! 1. sar(Systecm Activity Reporter 이하 sar) 란? sar 는 리눅스에서 유용하게 쓰는 시스템 모니터링 프로그램입니다. 모니터링 대상이 상당히 넓은 편이며 기본값은 CPU 활동에 대한 통계를 출력합니다. 각종 활동에 대한 통계를 다른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통계치를 리포팅 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sadc에서 생성한 daily activity 파일을 읽어서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하고 시스템의 활동 상황을 수집 할 수도 있습니다. 2. sar 명령어로 모니터링 가능한 항목 I/O 전송량 페이징 프로세스 생성 숫자 블락 디바이스 활동 인터럽트 네트워크 통계 run 큐 및 시스템 부하 평균 메모리와 스왑 공간 활용 통계 메모리 통..
-
nosql과 sql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설치&설정 관련 2021. 12. 26. 02:17
얼마전 nosql을 왜 써야 하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nosql은 개발을 빠르고 편하기 위해 사용하지, 운영 업무 담당자의 입장에서는 관리 되지 않는 데이터라고 말씀 주셨습니다. 제 생각은 명확하게 nosql과 sql은 구조, 사용법이 다르다 이야기 했지만 잘 전달 되지는 않았네요. SQL vs NoSQL의 내용을 보면 수정이 거의 없는 대량 데이터는 sql보다는 nosql이 같는 잇점이 크다고 이야기 합니다. (물론 sql 만으로도 처리가 가능하지만요.) NoSQL은 언제 가장 좋은가요? 정확한 데이터 요구 사항 또는 데이터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거나 변경/확장될 수 있음 높은(읽기) 처리량이 필요하지만 데이터를 자주 변경하지 않습니다(즉, 한 번의 변경으로 인해 항상 수십 개의 문서를 업데이트할 필요..
-
MS TEAMS에서 채팅방 생성, 메시지 발송, 사람 초대 등의 처리 정리설치&설정 관련 2021. 12. 25. 02:16
TEAMS 채팅방 생성 및 메시지 발송까지 우선 시작하기에 앞서서 TEAMS의 graph api는 application의 채팅방 생성(Create chat)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진행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채팅방 생성을 하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역할의 계정을 생성해야 합니다. 계정의 Access token을 이용해서 채팅방을 생성하고 메시지 발송을 하는 teams graph api를 호출합니다. 2. 계정 생성이 완료 되었으면, 채팅 관련 권한을 할당합니다. 권한 할당은 graph-explorer를 통해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3. 사용자의 Access token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시작에도 이야기 했듯이 Teams graph api의 Create chat기능..
-
PC 특정 port를 ssh를 통해서 특정 서버의 port와 연결해서 사용하기설치&설정 관련 2021. 12. 20. 02:13
ssh tunneling으로 port forword 특정 서비스 DBMS에 접근을 해야 하는 일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DBMS에 접근 가능한 서버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ssh에서 제공하는 터널링을 이용해서 DBMS에 접근해보려고 합니다. Mac, Linux 에서는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면 쉽게 터널링을 할수 있습니다. # ssh ID@GateServer -N -L localPort:DBMS:ServicePort $ ssh ec2-user@1.2.3.4 -N -L 13306:1.2.3.5:3306-N 옵션은 리모트로 명령어 실행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이며, -L 옵션은 로컬 포트와 GATESERVER 포트를 연결하는 역활을 합니다. 여기서는 GATEServer에서 DBMS와 연결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