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SpringBoot 포트 및 ERROR 페이지 관련
1. HTTP Port 변경 방법
SpringBoot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구축 하는 경우, PORT를 변경하고 싶을때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서
server.port=8888
를 추가 - Main(SpringBootApplication) Run 시 VM options 에
-Dserver.port=8888
를 추가
원본 문서에서는 management.port
를 사용하면 된다고 하지만, 테스트 결과 server.port
만 동작하였습니다.
2. 사용자 정의 ‘whitelable’ 에러 페이지를 생성 하는 방법
SpringBoot는 서버에서 에러(클라이언트에서 JSON 형식이나 다른 미디어 타입으로 요청했을 경우 해당 타입에 맞는 올바른 에러 코드)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whitelabe
에러 페이지를 제공한다.
또한 server.error.whitelabel.enabled=false
를 application.properties에 추가 하면 해당 에러 페이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보통의 경우 사용자 정의 whilelabel 에러 페이지를 추가 하거나 대체 합니다. 정확하게 사용하는 템플릿 기술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만약 Thymeleaf를 사용한다면 error.html
템플릿을 FreeMarker를 사용한다면 error.ftl
템플릿을 추가 합니다.
일반적으로 View
가 error
이름으로 정의된 것과 @Controller
에서 /error
주소가 필요합니다.
어떤 기본 구성은 당신의 ApplicationContext
안에 BeanNameViewResolver
를 찾아서 error
id를 가진 @Bean
을 변경하는 하여야 됩니다.
더 많은 옵션은 ErrorMvcAutoConfiguration을 확인하셔요.
또한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어떻게 Error Handling을 등록 하는 지를 보세요.
간단한 prototype을 작성할 경우는 기본 에러 페이지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참고 자료
MD FILE :
TIP_SpringBoot_port_error_change.md